방모두단(房謀杜斷)
협업의 완성을 보여주다
현대 조직사회에서 협업 능력을 매주 중요시한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협업이란 무엇일까? 당나라 시대 방현령과 두여회라는 두 명재상의 이야기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방모두단(房謀杜斷)'이라는 사자성어는 단순한 협력을 넘어선 이상적인 협업의 모델을 보여준다.
'방현령(房玄齡)의 지모와 두여회(杜如晦)의 결단력'이라는 뜻을 가진 방모두단은 서로 다른 특성과 장점을 가진 인재들이 어떻게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역사적 사례다. 당 태종 시대의 '정관(貞觀)의 치'로 불리는 태평성대는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방현령과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두여회 같은 명재상의 찰떡 같은 호흡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방현령은 뛰어난 분석가였다. 그는 국가의 크고 작은 문제들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 탁월했다. 하지만 그에게는 한 가지 약점이 있었다. 바로 결단력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자신이 세운 계획에 확신을 갖지 못하고 망설이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두여회는 결단력의 대가였다. 방현령의 국사 분석과 방안을 들은 두여회는 방현령의 견해에 적극 찬성하면서 정책 시행을 과감히 결단해 황제에게 보고했다.
“두여회는 결론을 내리는 데 과감하였고, 방현령은 계획을 세우는 데 뛰어났다.”
如晦長于斷, 而玄齡善謀
이들의 협업은 '생황과 경쇠가 같은 음을 낸다(笙磬同音)'는 평가를 받았다. 서로 다른 악기가 하나의 아름다운 화음을 만들어내듯, 두 사람의 다른 특성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었다는 의미다. 이는 현대 조직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종종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끼리만 뭉치려는 경향을 보인다. 분석적인 사람들은 분석적인 사람들과, 실행력 있는 사람들은 실행력 있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기를 선호한다. 하지만 방모두단이 보여주는 것은 이와는 정반대의 모델이다. 서로의 다름이 약점이 아닌 강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두 사람이 서로의 특성을 인정하고 존중했다는 점이다. 방현령은 두여회의 결단력을 시기하지 않았고, 두여회는 방현령의 분석력을 무시하지 않았다. 오히려 서로의 장점을 보완적으로 활용하며 시너지를 만들어냈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협업이 아닐까?
당나라의 법규와 제도 대부분이 이 두 사람의 토의를 거쳐 마련되었다는 기록은 의미심장하다. 이는 단순히 두 사람이 함께 일했다는 것을 넘어, 그들의 협업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효율적이었는지를 보여준다. 방현령의 철저한 분석과 두여회의 과감한 결단이 만나 최적의 의사결정 구조를 만들어냈던 것이다.
현대 조직에서도 이러한 협업 모델이 절실히 필요하다.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신중한 분석과 과감한 실행력은 모두 필수적이다. 하지만 한 사람이 이 모든 것을 완벽하게 갖추기는 어렵다. 그렇기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인재들이 조화롭게 협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다.
리더십의 관점에서도 방모두단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당 태종은 두 신하의 서로 다른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했다. 현대의 리더들도 조직 구성원들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방모두단은 의사결정 프로세스의 중요성도 보여준다. 분석과 실행이 분리되어 있되 유기적으로 연결된 의사결정 구조는 현대 조직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철저한 분석 없는 실행은 위험하고, 실행 없는 분석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종종 '완벽한' 인재를 찾으려 한다. 분석력도 뛰어나고 실행력도 갖춘, 모든 면에서 부족함이 없는 사람을 원한다. 하지만 방모두단은 그러한 관점이 얼마나 비현실적인지를 보여준다. 중요한 것은 개인의 완벽함이 아니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얼마나 조화롭게 협업할 수 있는가이다.
이제 우리는 방모두단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야 한다. 단순히 역사적 사례로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조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협업의 모델로 발전시켜야 한다.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그 다름이 만들어내는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것. 그것이 방모두단이 현대 사회에 주는 메시지일 것이다.
'정관의 치'로 불리는 당나라의 황금기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방현령의 신중한 분석과 두여회의 과감한 결단이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현대 사회의 조직들도 이러한 지혜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인재들이 조화롭게 협업할 때, 우리도 새로운 황금기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방모두단은 단순한 고사성어가 아니다. 그것은 이상적인 협업의 모델이자, 현대 조직이 지향해야 할 목표다.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그 다름이 만들어내는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것. 그것이 바로 방모두단이 우리 시대에 던지는 메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