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반응형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필라이프 Phil LIfe

삼인성호(三人成虎) "현대사회의 신뢰와 의심에 대하여" 본문

건강/고사성어

삼인성호(三人成虎) "현대사회의 신뢰와 의심에 대하여"

필라이프 Phil Life 2025. 1. 24. 21:50
728x90
반응형

삼인성호(三人成虎)라는 말이 있다. 사람 셋이면 호랑이도 만들어 낸다는 뜻으로, 거짓말도 여러 사람이 하면 곧이들린다는 비유다. 한비자 내저설상 칠술(韓非子 內儲說上 七術)에 나온다.

 

 

중국 고대 전국 시대 위()나라 혜왕(惠王)은 조()나라와 강화를 맺고 그 증표로서 태자를 조나라에 볼모로 보내게 되었다. 당시에는 흔히 있는 관행이었다. 그러나 귀한 신분인 태자를 타국에 홀로 보낼 수는 없으므로  방총(龐葱)이란 대신이 동행하게 되었다. 이윽고 출발에 앞서 하직 인사를 하게 되었을 때, 방총은 임금에게 이렇게 물었다.

 

전하, 지금 누가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한다면, 전하께서는 믿으시겠사옵니까?”

그런 터무니없는 소리를 누가 믿겠소.”

그러면 또 한 사람이 같은 소리를 한다면 믿으시겠사옵니까?”

역시 믿지 않을 거요.”

만약 세 번째 사람이 똑같은 말을 아뢰면 그때도 믿지 않으시겠사옵니까?”

그 땐 믿어야 할 것 같소.”

 

 

이 말을 들은 방총은 한숨을 내쉬고 간곡한 목소리로 말했다.

 

"전하,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그러나 두 사람, 세 사람, 이렇게 전하는 입이 여럿이다 보면 사람들이 믿게 됩니다. 예컨대 없는 호랑이를 사람 셋이 만드는 셈이지요. 신은 이제 태자마마를 모시고 조나라로 떠나거니와, 신의 빈자리에 온기가 사라지기도 전에 필시 신을 비방하는 사람들이 여럿 나타날 것입니다. 그러나 조나라 서울 한단(邯鄲)은 이 대궐에서 저잣거리보다 수천 배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라 신으로서는 변명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습니다. 아무쪼록 전하께서는 이 점을 참작해 주십시오."

 

과인의 아들을 맡기면서 어찌 경을 의심하겠소? 절대 그런 일 없을 것이니 안심하고 떠나도록 하오.”

 

그러나 방총이 태자를 모시고 떠난 지 얼마 되지도 않아 그를 헐뜯는 참소가 임금의 귀를 어지럽히기 시작했다. 혜왕도 처음에는 일축하고 무시하였지만, 같은 소리가 두 번 세 번으로 이어지자 어느덧 자기도 모르게 어쩔 수 없이 참소를 믿게 되었다. 그로부터 몇 년이 지나 태자는 볼모의 신세를 면하여 귀국하게 되었지만, 위왕은 끝내 방총을 찾지 않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삼인성호 [三人成虎] (고사성어 따라잡기,구인환)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말을 세 사람이 전하면 믿게 된다는 삼인성호(三人成虎)의 고사는, 현대 사회에서 더욱 깊은 울림을 주고 있다. "진실은 한 사람의 입에서 나오지만, 거짓은 수천 개의 입을 통해 전파된다"는 말처럼, SNS와 인터넷이 발달한 오늘날, 허위정보는 순식간에 수천, 수만 명의 입을 통해 전파되며 진실보다 더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방총(龐葱)이 혜왕에게 던진 질문은 단순했다. 한 사람의 말은 의심스럽지만, 세 사람이 같은 이야기를 하면 믿게 된다는 인간 심리의 본질을 꿰뚫은 것이다. 현대 심리학에서 말하는 '사회적 증거(Social Proof)' 현상과 일맥상통한다. "많은 사람이 믿는다고 해서 그것이 진실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경구를 되새겨봐야 할 때다.

 

특히 주목할 점은 혜왕의 태도 변화다. 처음에는 방총을 전적으로 신뢰한다고 했으나, 결국 여러 사람의 참소에 흔들렸다. "신뢰는 천 일 동안 쌓아도 하루 만에 무너질 수 있다"는 말이 실감 나는 대목이다. 이는 현대 조직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현상이다. 실력 있는 직원에 대한 상사의 신뢰도 동료들의 지속적인 험담에 무너지기 쉽다. 특히 재택근무가 늘어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직접적인 소통이 줄어들어 이러한 위험이 더욱 커졌다.

 

방총은 자신이 멀리 있어 해명할 기회조차 없을 것을 우려했다. 오늘날에도 온라인상의 허위 정보나 악의적인 소문은 한번 퍼지면 해명이 거의 불가능하다. "의심할 줄 아는 용기가 때로는 믿을 줄 아는 용기보다 더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게다가 알고리즘은 사람들의 편향을 강화하며, 한번 형성된 인식을 바꾸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의 평판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브랜드 이미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다른 사람들의 리뷰를 찾아보고, 부정적인 댓글 몇 개만으로도 구매를 포기한다. 진실 여부와 관계없이 '많은 사람이 말하는 것'이 하나의 사실로 자리 잡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첫째, 정보의 출처와 신뢰성을 항상 검증해야 한다. 둘째, 조직에서는 투명한 소통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루머가 떠돌 때 이를 검증하고 해명할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하다. 셋째, 개인적으로는 비판적 사고력을 키워야 한다. 주변의 의견에 쉽게 휘둘리지 않는 판단력이 필요한 시대다.

 

삼인성호의 교훈은 단순히 거짓말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정보를 다루는 우리의 자세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요구한다. 특히 AI 시대를 맞아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기가 더욱 어려워진 지금, 우리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균형 잡힌 시각과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정보의 전파 속도는 빨라졌지만, 그 진실성을 검증하는 속도는 오히려 더뎌졌다. "진실은 시간이 걸리지만, 결국 스스로를 증명한다"는 믿음으로, 우리는 더욱 현명한 판단력을 갖춰야 할 것이다. 이는 개인의 평판이나 조직의 신뢰성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건강성을 지키는 근간이 될 것이다.

728x90
반응형